본문 바로가기

삼성반도체이야기는 더 이상 Internet Explorer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최적의 환경을 위해 다른 웹브라우저 사용을 권장합니다.

잘못된 정보가 빠르게 확산되는 ‘인포데믹스(Infodemics)’란?

개인 메신저나 미디어 등을 통해 유명인에 대한 근거 없는 소문이나 사회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알맹이 없는 의혹을 접해본 경험은 누구나 있을 텐데요. 최근 기술의 발달로 이러한 소문의 확산이 빨라지면서 디지털 시대의 사회 현상 중 하나로 떠오른 인포데믹스(Infodemic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빠르게 퍼져나가는 소문, 인포데믹스

인포데믹스

인포데믹스란 정보를 뜻하는 인포메이션(Information)과 전염병을 뜻하는 에피데믹스(Epidemic)의 합성어로 ‘정보전염병’을 의미하는데요. IT기기나 미디어를 통해 사실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정보들이 빠르게 퍼져나가면서 경우에 따라 사회, 경제, 정치 그리고 안보 등에 치명적 위기를 초래하는 것이 흡사 전염병과 유사하다고 하여 붙여졌습니다.

이는 미국의 전략분석기관 인텔리브리지(Intellibridge)의 창립자 데이비드 로스코프(David Rothkopf)가 워싱턴포스트 지에서 언급하면서 사용되기 시작되었는데요. 인터넷과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의 활성화는 손 쉽게 정보를 얻고 대인관계망을 넓히는 등 순기능이 많지만, 인포데믹스 같은 부정적인 사회현상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나도 모르게 속아 넘어가는 인포데믹스

인포데믹스2

인포데믹스의 사례는 악성 루머에 의한 개인의 프라이버시 침해부터 국가적 차원의 대응이 필요한 질병에 대한 잘못된 정보 확산 현상까지 다양합니다. 실제로 지난 2004년 한국에 조류독감이 처음 발생하면서 조류 독감에 걸린 닭이나 계란을 먹으면 사람도 조류독감에 걸린다와 같은 근거 없는 소문이 삽시간에 퍼져나가 사회적 불안은 물론 이로 인해 관련 업계는 막심한 경제적 손해를 입기도 했습니다.

또한 특정 은행이 파산 위기에 처했다는 루머가 퍼져 뱅크런 현상이 발생하는 등 시장에 불안정성도 야기할 수 있어 인포데믹스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온라인상의 자유와 윤리의식 사이의 균형감각 찾기

인포데믹스3

온라인상에서는 익명성이 보장되고, 정보가 동시다발적으로 확산되기 때문에 많은 이들이 정보를 그대로 받아들이고 별다른 죄책감 없이 관련 정보를 쉽게 퍼트리곤 합니다. 소셜미디어 규제에 대한 시스템이 부족해 인포데믹스 현상은 앞으로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데요.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인포데믹스가 야기할 수 있는 피해나 위험성 등 전방위적인 윤리 교육이 필요합니다. 또한 피해 발생 후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나 제도적 장치에 대한 방안도 함께 고민해보아야 하는데요. 독일의 경우 2018년부터 가짜뉴스 확산에 대한 책임을 부과하는 ‘소셜네트워크 운용 개선법’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정부나 제도 차원에서 예방 및 대응도 필요하지만 개인 스스로 온라인상의 정보에 대한 주체성을 갖는 것 또한 중요한데요. 국내에도 SNU팩트체크센터(factcheck.snu.ac.kr)나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report.kiso.or.kr) 등 허위정보를 검증하거나 의심되는 가짜 뉴스를 신고할 수 있는 기관이 있으니 활용해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앞으로는 인터넷에 떠다니는 정보를 무분별하게 받아들이기 보다는 잘못된 정보나 가짜뉴스는 아닌지 한번 더 확인해보는 건 어떨까요?

삼성전자 반도체 뉴스룸 공식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