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삼성반도체이야기는 더 이상 Internet Explorer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최적의 환경을 위해 다른 웹브라우저 사용을 권장합니다.

[ESG.zip] 기후 변화 멈춰! 지구를 지키기 위해 모인 국제 환경 기구들

01

국제사회에는 기후 변화를 연구하고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설립된
환경 관련 기구들이 있습니다.

과학·기술·사회·경제 등 다방면의 전문가들이 기후 변화와 관련된 전문 지식을 제공하고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감축 활동을 지원하는 등
지구온난화를 해결해 나갈 방안을 모색하는데요.

이번 ESG.zip에서는 기후 변화를 멈추기 위해
모인 이들 국제 환경 기구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기후 변화의 현 상태와 나아가야 할 지표를 보고서로 제공하는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와
2.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 변화 적응을 지원하는 ‘녹색기후기금(GCF)’,
3. 개발도상국들이 기후 변화에 대처할 수 있도록 선진국과의 기술 협력을 이끌어내는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CTCN)’까지 자세히 소개해드릴게요.

.

챕터 1.
글로벌 공동체가 참고할 수 있는 기후 변화 보고서를 발간하다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각종 언론 매체의 기후 변화 관련 기사는 물론 각국의 정부 기후 변화 정책 수립에 표준 참고 자료로 사용되는 보고서가 있는데요. 바로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에서 비정기적으로 발간하는 <IPCC 기후 변화 평가 보고서>입니다.

IPCC는 기후 변화와 관련된 과학·기술적 사실에 대한 평가를 제공하고 국제적인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설립된 UN 산하 정부 간 협의체입니다. 유엔환경계획(UNEP)과 세계기상기구(WMO)가 기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1988년 11월 공동으로 설립했으며, 현재 190여 개국의 전문가들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IPCC는 세계에서 진행되고 있는 기후 변화 관련 연구 결과들을 종합적이고 객관적으로 분석해 5~7년마다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02
지난해 8월부터 지난 4월까지 발간된 IPCC 제6차 보고서들

IPCC는 3개의 실무 그룹으로 나뉘어 있는데요. 제1 실무그룹은 기후 변화 과학, 제2 실무그룹은 기후 변화에 따른 영향•적응•취약성, 제3 실무그룹은 기후 변화 완화에 관해 연구한 보고서를 발간하며, 이를 취합한 종합 보고서까지 차수마다 4개의 보고서를 발간합니다. 2014년 발간된 제5차 평가 보고서는 80여 개국 과학자 800여 명, 기여 저자 및 검토 전문가 2,000여 명이 참여하고 3만 편 이상의 과학 논문을 평가해 만들어졌습니다.

제6차 보고서는 지난해 8월 제1 실무그룹 보고서부터 지난 4월 제3 실무그룹 보고서까지 총 3편의 보고서가 발표됐는데요. 이를 종합한 보고서는 과학적 완성도를 높여 오는 3월에 발간될 예정입니다. IPCC는 제6차 보고서를 통해 현재의 탄소 배출 추세가 이어질 경우 향후 10년 동안 3,200만~1억 3,200만 명이 극단적 기후 영향을 피할 수 없을 것이며, 2030년까지 3억 5,000만 명이 추가로 물 부족 현상을 겪게 된다는 경고를 전했습니다.

.

챕터 2.
기후 변화에 취약한 개발도상국을 지원하다
녹색기후기금(GCF)

기후 변화가 심화될수록 개발도상국은 선진국보다 더 큰 피해를 당합니다. 독일 환경단체인 저먼와치(Germanwatch)가 발표한 ‘2021 글로벌 기후 위험 지수’에 따르면 지난 20년간 기후 변화로 가장 많은 피해를 본 상위 10개의 나라는 모두 지구 남반구에 위치한 개발도상국이었습니다.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 변화 대응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국제기구가 있는데요. 바로 녹색기후기금(Green Climate Fund, GCF)입니다. GCF는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 변화 적응을 지원하기 위해 만든 국제 금융 기구로, 2010년 멕시코에서 열린 UN 기후 변화협약(FCCC) 제16차 당사국 총회에서 설립을 공식화하고 기금 설립을 승인했습니다.

GCF는 ‘제2의 세계은행’으로도 불리는데요. 지구환경기금과 같은 기존 기후 관련 기금과 다르게 온실가스, 그리고 기후 변화 대응에 재원을 집중적으로 투입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03
GCF에서 지원한 개발도상국 대상 환경 관련 프로젝트들

GCF 사무국은 현재 인천 송도에 위치해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2013년 GCF 사무국 출범과 함께 아시아 국가 중 최초로 국제기구를 유치했는데요. GCF 유치국이자 이사국으로서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동참해왔습니다. 우리나라는 GCF 이사회에서 약 200억 달러(약 23조 6,000억 원) 규모의 기후 재원이 투입되는 개발도상국 기후 대응 사업을 승인하고, 재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각종 정책을 결정하고 있습니다.

.

챕터 3.
선진국의 기후 변화 기술을 확산하다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CTCN)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 (Climate Technology Center-Network, CTCN)은 국가 간 기후 변화 대응 기술 협력을 전담하는 UN 산하 국제기구입니다. 개발도상국이 기후 위기에 대처할 수 있도록 선진국과 기술 협력을 확대하고, 기후 변화 대응 기술의 개발과 이전을 촉진하기 위해 설립됐습니다.

개발도상국에서 다양한 기후 문제를 제시하면 CTCN 기술 전문가들이 검토해 해결책을 모색하고, 이를 이행할 기관이나 기업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요. 개발도상국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기후 금융을 지원하는 GCF와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04
덴마크 코펜하겐에 위치한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 본부

우리나라는 2015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유엔기후 변화협약의 실질적 이행을 담당한 국가지정창구(NDE)로 공식 지정되면서 CTCN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스리랑카, 에티오피아, 방글라데시 등 여러 개발도상국에서 한국의 우수 기술을 활용한 기후 변화 대응 사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습니다.

지난 7월, CTCN은 세계 최초로 우리나라에 지역 사무소를 개소했는데요. 대한민국 협력연락사무소는 지구에서 가장 급격한 기후 변화를 겪고 있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집중적으로 기후 기술 확산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기후 변화를 멈추기 위해 설립된 환경 관련 국제기구에 관해 알아봤습니다. 우리나라가 맡고 있는 국제적 기후 변화 대응 역할과 앞으로 이행할 과제에 관해서도 살펴볼 수 있었는데요. 다양한 환경 관련 용어와 정의를 알아보는 ESG.zip. 다음 편에서도 유익한 내용으로 찾아오겠습니다.

삼성전자 반도체 뉴스룸 공식배너